계정별 운영 권한 설정하기
📍메뉴 위치:
MOP 로그인> Menu > 설정 > 애드써클 생성 > 권한 설정하기
1. MOP 계정의 개념
MOP 계정은 확약서 제출 및 도입 신청을 통해 대상자에게 발급되며, 발급된 계정별로 관리 및 운영 등 MOP 플랫폼에 대한 운영 권한을 가집니다. 단, 관리자 계정을 통해 부여되는 권한에 의해 각 유저 별로 연결된 애드써클에 대해 각기 다른 권한을 가질 수 있습니다. 별도 데모 계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.
MOP 유저는 최소 1개 이상의 애드써클과 연결되어야 하며, 연결된 애드써클에 대해 각기 다른 권한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.
2. MOP 계정 별 권한 차이
MOP 계정 권한은 3가지로 구분됩니다. 각 애드써클에 대해 관리자(Administrator), 운영자(Operator), 보기 사용자(Viewer) 권한이 있습니다.
- 관리자: 하나의 애드써클에 대한 슈퍼 관리자로, 써클 당 유저 1명만 가능 (최초 데이터 연동, 유닛 생성자에게 자동 부여)
- 운영자: 관리자로부터 운영 권한을 부여 받아 셋팅 기능 외 전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유저
- 보기 사용자: 관리자로부터 보기 권한을 부여 받아 전체 기능을 오직 조회만 할 수 있는 유저
구분 | 관리자
(Administrator) | 운영자
(Operator) | 보기 사용자
(Viewer) |
데이터 연동 정보 관리 | 사용 가능 | 사용 불가 | 사용 불가 |
연동 정보 관리 | 사용 가능 | 사용 불가 | 사용 불가 |
유저 권한 관리 | 사용 가능 | 사용 불가 | 사용 불가 |
MOP 운영 | 사용 가능 | 사용 가능 | 사용 불가 |
MOP 조회 | 사용 가능 | 사용 가능 | 사용 가능 |
“MOP 운영” 은 MOP 로그인 후 셋팅(Setting)을 포함한 전체 기능을 의미합니다.
3. MOP 계정 운영 권한 부여하기
데이터 연동, 애드써클 및 유닛을 모두 생성하였다면, 실제 운영에 앞서 각 운영 담당자 별 권한 부여가 필요합니다. 관리자 외 계정에 대해서 권한 부여 전까지는 MOP의 애드써클 접근, 운영 기능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.
- ‘설정 > 애드써클 생성’ 메뉴에서 운영 권한을 조정할 애드써클 메뉴 우측에 위치한 ‘권한 설정하기’ 버튼을 클릭합니다. 해당 메뉴는 애드써클을 생성하고 데이터 연동을 진행한 ‘관리자’ 계정에서만 확인 가능합니다.
- 멤버 초대하기 메뉴를 통해 ‘운영자’ 또는 ‘보기사용자’ 중 원하는 권한을 체크한 뒤 발급된 MOP 계정 ID(이메일)를 입력합니다. ‘초대하기’ 버튼을 누르면 해당 이메일로 수락 요청 메일이 발송됩니다. 해당 메일을 통한 수락이 되어야 최종 등록이 완료됩니다. 단, 1주일 간 초대를 수락하지 않으면 만료됩니다.
- 권한 등록이 완료되면 각 애드써클별로 몇 명이 어떤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보여집니다. 권한 수정(추가/삭제)도 가능합니다.
TIP. 여러 애드써클을 운영하는 유저라면?
각 애드써클 별로 다양한 권한을 가질 수 있습니다. 하나의 애드써클에 대해서는 관리자 권한을 가지고 있으나 다른 애드써클에 대해서는 운영자 권한을 가지고, 또 다른 애드써클에 대해서는 보기 사용자 권한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.
💡 [예시] MOP 유저 계정: mop_support@lgcns.com 애드써클 “가”: 관리자 애드써클 “나”: 운영자 애드써클 “다”: 운영자 애드써클 “라”: 보기 사용자
어떠한 권한이든 권한을 보유한 애드써클에 대해서는 MOP 로그인 시 대시보드를 통해 해당 애드써클을 확인할 수 있고, 권한 별 사용 가능 수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4. MOP 초대 수락하기
[애드써클 생성 > 초대 수락하기] 를 눌러 권한 부여 받은 애드써클 리스트 확인 후, [수락하기] 를 클릭하면 해당 애드써클 접속이 가능합니다.
- 초대 날짜로부터 1주일이 지나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초대를 수락해야 합니다. 기간에 만료되면 관리자가 다시 초대해야 합니다.
← Previous
Next →